화성시, 특례시 출범 앞두고 4개 구청 신설 위한 시민 투표 실시

여러분, 오늘은 우리 지

역의 큰 변화를 앞둔 화

성시의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해

요. 화성시가 특례시로

출범을 앞두고 4개 구청

신설을 위한 시민 투표를 실시한

다고 하네요. 이 뉴스가 우

리 일상에 어떤 영향을 미

칠지, 그리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

지 함께 살펴보도록 해요.

1. 화

성시의 특례시 출범과 행

정 체제 개편

2. 4개 구청 신

설 계획과 시민 참여

3. 구

명칭 선정 투표 방법과 후

4. 일

반구 설치의 필요성과 기대 효과

화성시의 특례시

출범과 행정 체제 개편

여러분,

우리 화성시가 대한민국의 5번째 특례

시로 거듭나는 날이 다가오고 있어

요. 2025년 1월, 화성특

례시가 공식 출범한다고 하

네요. 불과 23년 전

21만 명이었던 인구가 100만 명을

훌쩍 넘어서면서 이뤄낸

쾌거예요

.

.

화성시는

이제 예산 규모 4조 원,

지역내총생산(GRDP) 전

국 1위, 지방자치 경쟁력지수 7년 연속

1위, 재정자립도 전국 1위라는

놀라운 성과를 이뤄냈어요. 이런

급속한 성장에 발맞춰 시

행정도 변화가 필요한 시점

이 된 거죠

.

.

4개 구청 신

설 계획과 시민 참여

이에 화

성시는 특례시 출범과 함께

4개의 일반구를 신설하는 행

정체제 개편을 준비 중이에요. 시

민들의 편의와 효율적인 행정

서비스 제공을 위해서죠

.

.

시는 지

난 4월 특례시추진단이라는 전

담 조직을 만들고, 다양한 계

층의 의견을 듣고 연구용역도 진행했

어요. 그 결과 4개 일반구 설

치 구획안을 마련했고,

지난달부터는 구 명칭과 구

획안 확정을 위한 권역별 시

민설명회도 열었답니다

.

.

구 명

칭 선정 투표 방법과 후보

여러분,

이제 우리의 참여가 필요한

시간이에요. 화성시는 오

는 26일까지 구 명칭 선정을

위한 시민투표를 진행한대요. ‘

화성시민 정책광장 설문

시스템’을 통해 투표에 참

여할 수 있어요

.

.

각 권

역별로 2개씩의 명칭 후보가 올

라와 있는데, 어떤 것들이 있

는지 살펴볼까요?

1권역: 만

세구, 당성구

2권역: 효

행구, 동화구

3권역: 병

점구, 효행구

4권역: 동

탄구 (단독 후보)

각 명

칭에는 우리 지역의 역사와 특

성이 담겨있어요. 예를 들어

‘만세구’는 화성 3·1만세 운동

을, ‘당성구’는 백제부터 이

어온 전통 행정구역을 의

미한답니다

.

.

일반구 설치의

필요성과 기대 효과

“아, 그

런데 구청이 꼭 필요한가요?” 하

고 궁금해하실 수 있어요. 마

치 큰 집에 살면서 방이 하

나뿐이라 불편한 것처럼, 화

성시도 너무 넓어서 불편함이 많

았거든요.

화성시의 면

적은 서울의 1.4배, 수

원의 7배나 된대요. 송

산, 우정, 향남, 봉담, 동탄

등 각 지역에서 시청까지 가려

면 대중교통으로 평균 1시간 30분이나

걸린다고 해요. 이래서는 시민들

이 행정 서비스를 편리하게

이용하기 어렵겠죠?

구청이 생

기면 30분 내에 방문할 수

있는 중간 행정계층이 생

기는 거예요. 마치 큰 집에

방을 나눠 쓰는 것처럼요. 이

렇게 되면 시민들의 민원 처리

도 빨라지고, 지역 특성에 맞는

행정 서비스도 받을 수

있게 될 거예요.

화성시가

특례시로 거듭나는 이 중요한 시

기, 우리의 참여로 더 나은

도시를 만들어갈 수 있어요. 여

러분도 이번 구 명칭 선정 투

표에 꼭 참여해보는 건 어

떨까요? 우리가 사는 도

시의 미래를 함께 그려나가는 소

중한 기회가 될 거예요.

우리는 오

늘 화성시의 특례시 출범과 함께

진행되는 4개 구청 신설에

대해 알아봤어요. 인구 100만을 넘어

선 화성시가 더 효율적인 행정

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