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러분, 오늘은 우리 지
역의 큰 변화를 앞둔 화
성시의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해
요. 화성시가 특례시로
출범을 앞두고 4개 구청
신설을 위한 시민 투표를 실시한
다고 하네요. 이 뉴스가 우
리 일상에 어떤 영향을 미
칠지, 그리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
지 함께 살펴보도록 해요.
1. 화
성시의 특례시 출범과 행
정 체제 개편
2. 4개 구청 신
설 계획과 시민 참여
3. 구
명칭 선정 투표 방법과 후
보
4. 일
반구 설치의 필요성과 기대 효과
화성시의 특례시
출범과 행정 체제 개편
여러분,
우리 화성시가 대한민국의 5번째 특례
시로 거듭나는 날이 다가오고 있어
요. 2025년 1월, 화성특
례시가 공식 출범한다고 하
네요. 불과 23년 전
21만 명이었던 인구가 100만 명을
훌쩍 넘어서면서 이뤄낸
쾌거예요
.
.
화성시는
이제 예산 규모 4조 원,
지역내총생산(GRDP) 전
국 1위, 지방자치 경쟁력지수 7년 연속
1위, 재정자립도 전국 1위라는
놀라운 성과를 이뤄냈어요. 이런
급속한 성장에 발맞춰 시
행정도 변화가 필요한 시점
이 된 거죠
.
.
4개 구청 신
설 계획과 시민 참여
이에 화
성시는 특례시 출범과 함께
4개의 일반구를 신설하는 행
정체제 개편을 준비 중이에요. 시
민들의 편의와 효율적인 행정
서비스 제공을 위해서죠
.
.
시는 지
난 4월 특례시추진단이라는 전
담 조직을 만들고, 다양한 계
층의 의견을 듣고 연구용역도 진행했
어요. 그 결과 4개 일반구 설
치 구획안을 마련했고,
지난달부터는 구 명칭과 구
획안 확정을 위한 권역별 시
민설명회도 열었답니다
.
.
구 명
칭 선정 투표 방법과 후보
여러분,
이제 우리의 참여가 필요한
시간이에요. 화성시는 오
는 26일까지 구 명칭 선정을
위한 시민투표를 진행한대요. ‘
화성시민 정책광장 설문
시스템’을 통해 투표에 참
여할 수 있어요
.
.
각 권
역별로 2개씩의 명칭 후보가 올
라와 있는데, 어떤 것들이 있
는지 살펴볼까요?
1권역: 만
세구, 당성구
2권역: 효
행구, 동화구
3권역: 병
점구, 효행구
4권역: 동
탄구 (단독 후보)
각 명
칭에는 우리 지역의 역사와 특
성이 담겨있어요. 예를 들어
‘만세구’는 화성 3·1만세 운동
을, ‘당성구’는 백제부터 이
어온 전통 행정구역을 의
미한답니다
.
.
일반구 설치의
필요성과 기대 효과
“아, 그
런데 구청이 꼭 필요한가요?” 하
고 궁금해하실 수 있어요. 마
치 큰 집에 살면서 방이 하
나뿐이라 불편한 것처럼, 화
성시도 너무 넓어서 불편함이 많
았거든요.
화성시의 면
적은 서울의 1.4배, 수
원의 7배나 된대요. 송
산, 우정, 향남, 봉담, 동탄
등 각 지역에서 시청까지 가려
면 대중교통으로 평균 1시간 30분이나
걸린다고 해요. 이래서는 시민들
이 행정 서비스를 편리하게
이용하기 어렵겠죠?
구청이 생
기면 30분 내에 방문할 수
있는 중간 행정계층이 생
기는 거예요. 마치 큰 집에
방을 나눠 쓰는 것처럼요. 이
렇게 되면 시민들의 민원 처리
도 빨라지고, 지역 특성에 맞는
행정 서비스도 받을 수
있게 될 거예요.
화성시가
특례시로 거듭나는 이 중요한 시
기, 우리의 참여로 더 나은
도시를 만들어갈 수 있어요. 여
러분도 이번 구 명칭 선정 투
표에 꼭 참여해보는 건 어
떨까요? 우리가 사는 도
시의 미래를 함께 그려나가는 소
중한 기회가 될 거예요.
우리는 오
늘 화성시의 특례시 출범과 함께
진행되는 4개 구청 신설에
대해 알아봤어요. 인구 100만을 넘어
선 화성시가 더 효율적인 행정
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